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이 금융권 최초로 금(金) 실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용을 통해 수익까지 얻을 수 있는 ‘하나골드신탁(운용)’을 출시했다. 이번 상품은 금 실물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유동성 공급과 실물 경제 진작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금은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전국적으로 펼쳐진 ‘금 모으기 운동’을 통해 국가 위기 극복에 기여한 상징적인 안전자산이다. 하나은행은 이러한 정신을 계승해 금 실물 자산의 활용 방안을 오랜 기간 연구해왔다. 지난 6월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협약을 체결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금을 처분할 수 있는 ‘하나골드신탁(처분)’을 선보인데 이어, 이번에 ‘하나골드신탁(운용
NH농협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데이터 품질과 관리체계 분야에서 최고등급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은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데이터 품질 인증기관으로부터 정형데이터 품질인증(Complex-type Class A)과 데이터 관리체계 품질인증(Level 4)을 동시에 획득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시행되는 제도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품질관리 체계의 적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NH농협은행은 정형데이터 품질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체계까지 높은 수준을 충족하며 두 부문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NH농협은행은 이번 인증을 통해
하나은행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새로운 기술력을 특허로 인정받았다. 하나은행은 최근 ‘소비자 리스크관리 체계’에 관한 특허를 취득하며, 투자성 상품에 대한 판매 전후 리스크를 관리하는 독자적 시스템 기술력을 공인받았다고 밝혔다.이번 특허는 금융권 최초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리스크를 사전에 점검하고, 판매 이후에도 실시간 분석·대응하는 체계를 제도화한 사례다. 특히 고위험 상품의 편중 판매를 사전에 방지하고, 맞춤형 리스크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핵심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이후 더욱 강화되고 있는 소비자 보호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실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 특허 시스템은
하나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금 실물 처분과 운용이 가능한 신탁 상품을 선보이며 국내 금 거래 시장에 새로운 흐름을 제시했다.하나은행은 지난 17일,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금 실물 거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금 실물 신탁’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에서 진행됐으며, 이호성 하나은행장, 아이티센글로벌 강진모 회장, 박성욱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대표, 김윤모 한국금거래소 대표 등이 참석했다.국내 주얼리 연구소인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보유한 순금(24K) 실물은 약 8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시세를 제
KB금융그룹이 금융권 최초로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반의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인 ‘KB GenAI 포털’을 구축하고 본격 운영에 나섰다. 이는 임직원의 업무 방식과 금융서비스 제공 방식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조치로, 생성형 AI를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로 전환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KB GenAI 포털은 지주사를 포함한 8개 주요 계열사(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KB라이프생명, KB자산운용, KB캐피탈, KB저축은행)가 공동으로 협업해 구축한 AI 플랫폼으로, 자율적 판단과 실행이 가능한 AI 에이전트 개발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 플랫폼은 최신 생성형 AI 기술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활용할
하나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를 도입하며 수출입 업무의 자동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이번 서비스는 하나금융그룹의 사내 독립 기업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공동 개발한 AI-OCR 솔루션 ‘리딧(READIT)’을 활용한 것으로, 외부 솔루션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술로 개발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특히, 그동안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업무는 비정형적이고 복잡한 서류 특성상 신용장 전문가의 수작업에 크게 의존해왔다. 하나은행은 인공지능을 통해 이러한 서류를 자동 분류하고 핵심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함으로써,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고 업무 속도를 대폭 개선했다.이번 AI 기반 심사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