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호식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교수가 노안 개선을 위한 자동초점 안경 개발 연구로 교육부 중견연구 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과제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창의연구형 중견연구로, 황 교수는 ‘액체렌즈와 LIDAR 센서를 이용한 자동초점 안경 개발’을 주제로 2025년 9월부터 3년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노안은 40대 중반 이후 시작되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수정체의 조절력이 떨어지며 근거리 시야가 흐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 돋보기나 다초점 안경으로 불편함을 해결하지만, 착용의 번거로움이나 적응의 어려움 때문에 실생활에서 제한이 많다.황 교수의 연구는 시선 거리를 실시간으로 인식해, 액체렌즈가
황호식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교수가 다초점 인공수정체 성능 평가 장치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등록일은 지난달 23일이며, 발명명은 ‘Optical bench tester for multifocal IOL’이다.이 장치는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다초점 인공수정체(multifocal IOL)의 성능을 기존보다 더 객관적이고 빠르게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현재까지는 환자의 시력과 만족도 등을 바탕으로 한 임상 평가 방식이 주로 사용됐지만, 이는 주관성과 시간 소요라는 한계가 있었다.황 교수의 특허 기술은 광학 평가 장치(optical bench)에 인공수정체를 장착하고, 전기 작동 방식의 액체렌즈를 이용해 다양한 초점 거리를 시뮬레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황호식 교수가 최근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특허 제10-2673327호, 등록일 2024년 6월 3일)‘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는 센서에 의해 근접한 장애물을 파악하고 주변 상황을 청각 신호로 시각 장애인에게 경고한다. 초음파 센서를 포함한 다량의 근접 센서를 지팡이에 설치하여 장애물의 높이, 좌우 위치에 따란 다른 소리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이 장애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황 교수는 “향후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를 상용화하여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황 교수는 카메라, 헤드폰, 마이크가 장착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황호식 교수가 지난 7월 14일부터 이틀간 열린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에서 학술상(장려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다.이번 학술상은 지난 2023년에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회원이 출판한 백내장굴절수술 관련 SCI(E) 논문 중 우수논문을 선발했다. 논문은 ‘Comparative Analysis of Optical Quality of Monofocal, Enhanced Monofocal, Multifocal, and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es: A Mobile Model Eye Study 로 안과저널인 Transl Vis Sci Technol (IF 2.6) 7월호에 게재되었다.이 논문에서는 황 교수가 개발한 휴대형 모델눈 (mobile model eye)에 여러 가지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다음
대학병원 교수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초음파 지팡이 제작에 성공했다.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황호식 교수는 최근 ‘시각장애인용 초음파 지팡이 제작’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일반 지팡이에 초음파 센서를 부착하여 시각장애인이 장애물을 쉽게 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황 교수는 이를 제작하기 위해 거리 및 근접 센서를 알아보던 중 자동차의 후방센서가 구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쉽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에 자료 조사를 통해 자동차 후방센서에서의 초음파 작동 원리와 장착하는 방법을 습득했다.문제는 전원 연결. 자동차 후미등에 연결되는 후방 센서는 12V 직류전원이 필요한데 일반적인 12V 직류전원은 규격이 커서 ...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황호식 교수가 지난 3일부터 이틀간 온라인으로 진행된 대한안과학회 제25회 학술대회에서 구연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황 교수는‘다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들에게 세상은 어떻게 보일까? - 이동형 모델 아이(model eye) 실험’제목으로 본 상을 수상했다. 황 교수가 직접 개발한 이동형 모델 아이에 실제로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단초점인공수정체와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다음 원거리 풍경, 가까운 거리 시표, 밤거리를 촬영하여 비교 분석 했다.황 교수는 “백내장 수술 전 단초점인공수정체를 적용할지,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적용한다면 어떤 종류의 다초점인공수정체가 좋을 지 환자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황호식 교수가 지난 10월 30일(금)부터 이틀간 그랜드 워커힐 서울호텔에서 열린 제124회 대한안과학회에서 ‘하나의 각막으로 두 명에게 생명의 빛을 선사하다’라는 제목으로 학술비디오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황 교수는 각막 하나로 한 명에게는 각막의 실질만 이식하는 심부표층각막이식을, 다른 한명에게는 데세메막 이식술을 시행한 수술기법을 발표했다. 격자 각막 이상증으로 심부표층각막이식을 받은 환자는 수술 후 시력이 0.25로, 훅스씨 내피이상증으로 데세메막 이식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후 시력이 0.5로 나아졌다.국내 각막기증 현실은 녹록치 않다. 2018년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연보에 따르...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황호식 교수가 최근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특허를 출원, 승인되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는 소식이다.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은 이렇다. 시각장애인이 카메라, 헤드폰, 마이크가 장착된 특수 안경을 착용한다. 카메라는 전방을 촬영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영상을 서버에 전송한다.시각장애인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목적지까지의 길안내를 요청한다. 그러면 서버에서는 길안내 요청에 따라 스마트폰의 GPS를 기반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헤드폰을 통해 음성으로 길안내를 제공한다.특히 이 시스템은 카메라로 얻은 정보를 인공지능으로 실시간 분...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황호식 교수의 논문이 최근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이하 한빛사)' 논문에 선정됐다.논문 제목은 ‘마우스(mouse)의 마이봄샘을 살아있는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투과형 마이봄샘 촬영장비(A novel transillumination meibography device for in vivo imaging of mouse meibomian glands)’다.마이봄샘이란 눈꺼풀에 있는 피지샘으로 마이봄샘 기능장애는 안구건조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다.본 연구는 세계 최초로 어린 쥐와 나이든 쥐의 마이봄샘을 살아있는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는 투과형 마이봄샘 장치를 신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