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에는 한승현 일산백병원 교수, 유은진 포스텍 대학원생이 공동 제1저자로, 김영훈 아산병원 교수, 이환희 부산대 교수, 이정표 보라매병원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2002~2020년 사이 신장이식을 받은 국내 환자 4796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머신러닝 기반 대기오염 예측 모델을 활용해 환자 거주지의 연평균 오존 및 미세먼지(PM₂.₅) 농도를 산출했고, 이식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들을 장기 추적했다.
그 결과, 연평균 오존 농도가 5ppb 증가할 때 전체 사망 위험은 65%, 이식신 기능 상실 위험은 60% 높아졌다. 특히 오존 농도가 35ppb를 넘으면 위험이 증가했고, 40ppb 이상에서는 사망률 증가 폭이 더욱 컸다.
이 결과는 미세먼지, 기온, 인구밀도, 녹지율, 혈액검사 수치 등 다양한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유의미하게 유지됐다.

이정표 보라매병원 교수는 “환경 요인이 이식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기후 위기에 맞춘 맞춤형 건강관리와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