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어패류 생식·해수 접촉 주의, 예방수칙 철저 강조

[Hinews 하이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늦여름 전국 곳곳에서 35℃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식중독 예방수칙 ‘손보구가세’ 안내문 (식약처 제공)
식중독 예방수칙 ‘손보구가세’ 안내문 (식약처 제공)

최근 5년간(2020~2024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 건수는 이전 5년 대비 약 83% 감소(52건→9건)했지만, 수온이 오르는 7~9월에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장염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5℃ 이상에서 증식을 시작해 20~37℃ 구간에서 매우 빠르게 늘어나며,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할 경우 구토, 복통, 설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수온이 상승하는 5~10월 활발히 증식해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닿으면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만성 간질환 등 기저질환자가 감염되면 패혈성 쇼크로 이어져 사망률이 50%에 달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오염된 수산물을 구입·조리·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손 씻기, 보관하기, 구분하기, 가열하기, 세척하기’로 구성된 식중독 예방수칙(‘손보구가세’)을 생활 속에서 반드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활어 등 수산물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수족관 물에 대한 비브리오균 신속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통해 패혈증균 예보 및 단계별 대응 요령을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주요 낚시터, 해루질 포인트, 해수욕장에 대한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어 여행객들이 방문 전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한 여름나기를 위해 계절별 식중독 예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