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메드트로닉코리아는 무전극선 심박동기 ‘마이크라(Micra™)’ 출시 10주년을 맞아, 지난 10년간의 임상 성과와 기술 발전을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라는 배터리와 회로, 센서를 모두 기기 하나에 집약한 초소형 심박동기로, 기존 심박동기와 달리 전극선과 피하 배터리 주머니 없이 심장 내부에 직접 이식된다. 메드트로닉은 2015년, 기존 대비 약 10분의 1 크기(2.6cm)의 마이크라를 선보이며 무전극선 심박동기 시대를 열었다.

이후 10년간 마이크라는 전 세계 30만 명 이상 부정맥 환자의 치료에 사용됐다. 유럽, 미국, 한국, 일본 등에서 활발히 도입되며 임상적 안정성과 효과도 확인됐다.

메드트로닉코리아가 무전극선 심박동기 ‘마이크라’의 임상 도입 10주년을 맞아 임상적 성과를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사진 제공=메드트로닉코리아)
메드트로닉코리아가 무전극선 심박동기 ‘마이크라’의 임상 도입 10주년을 맞아 임상적 성과를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사진 제공=메드트로닉코리아)
유럽심장학회지(EHJ)는 2025년 특집호에서 마이크라의 임상 결과를 중심으로 무전극선 심박동기 10년의 발전을 다뤘다. 특히, 1817명을 대상으로 한 5년 추적 연구에선 주요 합병증 발생률이 4.5%였으며, 감염으로 인한 기기 제거 사례는 없었다. 미국 메디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에서도 2년 시점 중증 합병증 발생률이 5.3%로 나타나 기존 심박동기 대비 낮은 수치를 보였다.

김준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무전극선 심박동기는 전극선이나 피하 주머니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고, 환자의 일상 활동에도 제약이 적다”며 “검증된 안전성을 바탕으로 서맥 환자 치료에서 선택지가 더욱 넓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마이크라는 국내에는 2021년 마이크라 VR, 2023년 마이크라 AV가 순차 도입됐고, 올해 7월 기준 누적 2000명 이상이 치료를 받았다. 배터리 수명을 약 17년까지 늘린 차세대 마이크라2의 국내 출시도 준비 중이다.

박태희 메드트로닉코리아 부사장은 “마이크라는 70여 년간 축적된 메드트로닉의 심장 치료 기술이 집약된 결과”라며, “앞으로도 차세대 무전극선 심박동기와 더불어, 국내 부정맥 치료 옵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에서 마이크라가 적용되는 서맥성 부정맥은 분당 심박 수가 60회 미만으로 느려지는 질환이다. 2024년 기준 5만5000여 명이 진단받았지만, 실제 심박동기 치료를 받은 환자는 12% 수준에 그쳐 치료 접근성 개선이 과제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