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소이증은 외이가 선천적으로 작거나 아예 형성되지 않는 질환으로, 신생아 7000~8000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한다. 주로 한쪽 귀에 나타나지만 약 5%는 양측성으로 진행되며, 외형뿐 아니라 청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3D프린팅 기술로 소이증 환자의 귀를 정밀하게 재건해 삶의 질을 높인다. (클립아트코리아)
3D프린팅 기술로 소이증 환자의 귀를 정밀하게 재건해 삶의 질을 높인다. (클립아트코리아)
외이 기형과 함께 청력 손실이 동반된 경우, 외이도 성형술이나 보청기 이식 등 청각 재건이 필요하다. 반면, 형태 이상만 있는 경우엔 외형 복원을 위한 귀 재건 수술이 시행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가슴 연골을 조각해 귀 모양으로 만든 뒤 이식하지만, 이 방식은 섬세한 귀 구조 구현에 한계가 있다.

이에 박호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귀 재건 수술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대쪽 정상 귀를 3D 스캔한 뒤, 이를 모델링해 프린팅한 가이드를 기반으로 연골을 정밀하게 조각함으로써 주름, 높낮이, 깊이까지 실제와 유사한 입체적 귀 구조를 재현할 수 있게 됐다.

박 교수는 “3D프린팅 기반 재건술은 외형 만족도는 물론, 자존감 회복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며 “소이증뿐 아니라 외상성 귀 손상 환자에게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호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
박호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
한편, 고려대 안암병원은 2006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귀성형연구센터를 설립해 소이증과 외상성 기형 등을 체계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박 교수는 귀재건 클리닉을 통해 성장 단계별 맞춤 치료를 제공하며 환자와 함께하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