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박경준 부산대병원 핵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계절별 일조량 변화가 뇌의 당대사와 정서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생체리듬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뇌 대사 수준에서 계절성 정서 변화의 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한 첫 사례로, 향후 우울증 예방과 치료 연구에 실질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팀은 삼성창원병원, 중국 푸단대, 핀란드 투르쿠 PET 센터와 함께 5년에 걸쳐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했다. 건강한 성인 43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시행해 뇌 포도당 대사 변화를 분석했다.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일조량이 뇌의 정서 기능과 당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클립아트코리아)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일조량이 뇌의 정서 기능과 당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클립아트코리아)
분석 결과, 일조 시간이 길수록 쐐기엽, 안와전두피질, 섬엽, 전두극 등 사회·정서 회로와 관련된 뇌 영역의 포도당 섭취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뇌의 정서 회로는 낮 시간이 짧아지는 겨울에는 활동이 줄고, 여름철처럼 낮이 길수록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박경준 부산대병원 핵의학과 교수
박경준 부산대병원 핵의학과 교수
박경준 교수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일조량이 뇌 기능과 기분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걸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가 계절성 우울증의 이해와 치료 전략 수립에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