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는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모바일 주문 시스템이 하나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고객이 앱으로 미리 주문·결제를 완료한 후 매장에서 음료만 수령하는 방식으로, 인력 부담은 줄이고 주문 처리 속도는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있다는 평가다.

모바일 주문 플랫폼 '패스오더' 제공
모바일 주문 플랫폼 '패스오더' 제공
모바일 주문 플랫폼 '패스오더'에 따르면, 현재 국내 가맹점 수 기준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중 9곳이 이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MGC커피, 이디야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더벤티, 매머드커피 등 다수 브랜드가 포함되며, 일부는 본사 차원의 제휴를 통해 가맹점 전체에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 패스오더를 도입한 전국 매장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모바일 주문 시스템이 소비자 편의 차원을 넘어, 프랜차이즈 본사의 전략적 운영 인프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한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들은 출근 시간이나 점심시간 등 혼잡 시간대의 대기 문제를 모바일 주문으로 상당 부분 해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문과 수령의 분리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현장 인력 운용 부담도 줄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모바일 주문 시스템은 점주와 고객 모두에게 효율성과 편의를 제공하면서,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의 새로운 기본 운영 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업계는 앞으로도 플랫폼 중심의 매장 운영이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