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급성심근경색 환자 3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TALOS-AMI’ 임상시험 중 만성신장질환(CKD)을 동반한 환자 305명을 추출해 분석했다. 이들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1개월간 티카그렐러 기반의 이중 항혈소판요법(DAPT)을 유지한 뒤, 이후 11개월간 티카그렐러를 지속 복용한 대조군(145명)과 클로피도그렐로 감량한 실험군(160명)으로 나눠 비교 관찰했다.
그 결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 발생률은 감량군에서 2.5%, 대조군에서 8.3%로 나타나, 감량군의 출혈 위험이 71%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허혈성 사건(심혈관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률은 감량군 4.4%, 대조군 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합 임상사건(출혈 및 허혈 포함)은 감량군이 6.2%, 대조군이 13.1%로, 감량 전략이 전체적인 예후 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항혈소판제 감량 전략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한 첫 사례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향후 다기관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환자군에 대한 적용 가능성도 확인할 예정이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