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GC녹십자의 미국 자회사 ABO플라즈마가 혈장 채취 효율과 공여자 안전성을 높이는 신규 맞춤형 채장 기술을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기존 체중 중심 채장 방식에서 벗어나, 공여자의 체질량지수(BMI)와 적혈구용적률(Hematocrit) 등 건강 지표를 반영해 개인별 맞춤 채장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무리한 채장 부담은 줄이고, 필요 시 적절히 채장량을 늘려 효율을 높였다.

ABO Plasma CI (사진 제공=GC녹십자)
ABO Plasma CI (사진 제공=GC녹십자)
적혈구용적률이 높은 공여자의 경우 채장량이 줄어드는 반면, 기준에 부합하는 공여자는 채장량이 증가하는 등 공여자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가 이뤄졌다. 결과적으로 회당 채장량은 평균 8% 이상 증가했다.

또한, 키·체중·BMI·적혈구용적률 등 주요 건강 지표를 공여자에게 안내해 건강 관리와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O플라즈마는 현재 운영 중인 모든 혈장센터에 이 기술을 전면 적용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공여자 경험 개선과 혈장 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C녹십자는 지난 1월 ABO플라즈마 지분 100%를 인수했으며, 이후 통합 작업(PMI)을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