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오는 11월 공식 공개를 앞두고 있다. 한국형 치매 데이터를 통합·표준화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첫 사례로, 정밀의료 인프라로서의 확장 가능성에 주목된다.
핵심 개발은 김희진 한양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팀이 맡았다. 서울·경기·경북 지역의 치매 환자 데이터를 통합해, 약 1400건의 다중모달 자료를 담은 플랫폼 ‘ALEAD’를 구축했다. 임상·뇌영상·바이오마커 등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해 연구자 간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고, 향후 국제 공동연구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동시에 공개되는 AI 기반 조기 예측 시스템은 뇌영상, 인지검사 등의 정보를 통합 분석해 ‘뇌 나이’와 치매 발병 위험도를 계산한다. 기존의 단일 지표 기반 예측보다 정확성이 높고, 개인 맞춤형 조기 개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연구에는 김희진 한양대 교수팀이 총괄을 맡고, 정영희 명지병원 교수팀과 강경훈 칠곡경북대병원 교수팀이 코호트 구축을, 이제연 한양대 의공학과 교수팀이 AI 시스템 개발을 담당했다. 진희경 경북대 교수팀과 전진용 한양대 교수팀은 바이오마커 분석을 진행했고, 플랫폼 개발은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가 맡았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