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마운자로(Mounjaro, 성분명 티제파타이드)’가 체중 감량 효과로 주목받고 있다. 원래는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개발됐으나, 일부 임상연구에서 비만 환자에게도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보이면서 의료계의 관심이 높아졌다. 미국에서는 이미 비만 치료를 위한 추가 승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사용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마운자로는 GLP-1과 GIP 두 가지 인크레틴 호르몬 수용체를 동시에 자극하는 이중 작용 기전을 갖는다. 인슐린 분비를 돕고 식욕을 억제하며 위 배출을 지연시키는 기전으로 혈당 조절과 체중 감량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기존 GLP-1 유사체보다 더 강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옵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성호 세강병원 내과 원장
김성호 세강병원 내과 원장
그러나 효과만큼이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의 소화기계 이상반응이 나타나며, 장기 사용에 따른 안전성 데이터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특히 비만 치료제로의 사용은 현재 국내에서 허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약물을 통한 체중 감량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다이어트 효과가 끝나면 다시 체중이 증가할 가능성, 약물 의존성, 경제적 부담 등은 현실적인 한계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약물만으로 비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나친 기대는 경계해야 한다.

비만은 단순한 체중의 문제가 아니라, 생활 습관, 심리적 요인,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마운자로와 같은 약물 치료도 결국은 식습관 개선, 운동, 수면 관리 등 종합적인 관리 전략 속에서 활용돼야 한다. 약물은 하나의 수단일 뿐, 해결책 그 자체는 아니다.

마운자로는 확실히 주목할 만한 치료 옵션으로 부상했지만, 그 사용에는 적응증과 환자 상태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선행돼야 한다. 향후 추가 임상과 안전성 평가를 통해 마운자로가 단기 유행이 아닌, 장기적 치료 전략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글 : 김성호 세강병원 내과 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