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보라매병원 외래에서 녹음된 510건의 의사-환자 대화를 국제 검증 도구인 RIAS로 분석해 대화를 ‘기능적 대화’(검사·치료 중심)와 ‘정서·관계 지향 대화’(공감·격려 중심)로 나누고, 대화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했다.
대화 유형은 의사 중심 질병 설명 위주의 ‘Biomedical’, 환자 주도 질문 중심의 ‘Consumerist’, 의학적 과제와 정서, 생활 맥락을 균형 있게 다루는 ‘Biopsychosocial’이었다. 전체 대화의 48.9%를 차지한 Biopsychosocial 유형은 평균 진료 시간이 4분가량으로 세 유형 중 가장 짧았다.
이 유형은 단순한 처방이나 검사 안내를 넘어, 환자의 생활습관, 스트레스, 가족력, 걱정 등 정서적 요소까지 포함해 환자 상황을 폭넓게 고려하는 대화가 특징이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에도 환자 감정을 함께 반영하는 환자 중심 소통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25년 9월호 온라인판에 실렸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