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ESMO에서는 대장암과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BTN1A1의 임상적 가치와 치료 가능성을 다룬 초록 2건이 발표된다. 첫 번째 초록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해 BTN1A1 억제제 병용 효과를 평가한 연구다.
두 번째 초록은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의 임상 효과를 BTN1A1 발현(H-Score)과 다중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해 예측한 전이성 대장암 1b/2상 연구 결과를 담았다. 이 연구는 이수현 고대안암병원 교수가 주도했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BTN1A1은 PD-L1과 별개로 발현되는 새로운 면역관문으로, 기존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임상 데이터를 통해 넬마스토바트가 바이오마커 기반 정밀 면역항암제로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티큐브는 이번 ESMO와 SITC 참가를 발판 삼아 BTN1A1 타깃 면역항암제 개발 전략을 전 세계에 알리고, 후속 임상 및 기술이전 논의를 활발히 이어갈 계획이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