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스텐트 환자,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해도 안전

[Hinews 하이뉴스]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복용 중인 환자가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경우, 아스피린을 중단해도 주요 심혈관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 30개 병원에서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 후 1년 이상 지난 환자 1010명을 무작위로 배정해, 아스피린 복용을 유지한 그룹과 중단한 그룹을 비교했다. 수술 후 30일 이내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들은 혈관 재협착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과 P2Y12억제제 같은 이중항혈소판제를 복용한다. 그러나 약 20%는 스텐트 삽입 2년 이내에 복부·정형외과·내시경·치과 등 비심장 수술을 받아야 하며, 수술 전 아스피린을 끊을지 유지할지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중단 시 혈전 위험, 유지 시 출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스텐트 시술 환자가 비심장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도 주요 합병증 위험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스텐트 시술 환자가 비심장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도 주요 합병증 위험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국내외 진료지침은 출혈 위험이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지만, 실제로는 중단하는 경우가 많아 혼란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두 선택 모두 임상적으로 안전하며, 환자의 상태와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 다만, 아스피린을 유지한 그룹에서 경미한 출혈이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은 있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상황에서는 의료진과 환자가 함께 근거와 선호를 반영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주관하는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단(PACEN) 지원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