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허리디스크는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지기 쉽지만,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젊은 직장인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특히 앉은 자세에서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 있을 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자세 불량이나 근력 부족이 겹치면 디스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증상이 처음엔 단순한 요통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근육이 뭉쳤나’ 하는 식으로 넘기기 쉽다는 점이다.

허리디스크는 의학적으로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추간판)가 돌출되거나 파열되며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 외에도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끝까지 이어지는 저림·당김·통증 등이 있다. 이는 신경근이 눌리기 시작했다는 경고 신호로, 단순한 근육통과는 양상이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증상이 애매하게 시작되기 때문에 통증이 어느 정도 심해질 때까지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젊은 직장인들이 ‘젊어서 괜찮겠지’ 하고 참는 사이, 디스크가 더 탈출하거나 신경 압박이 심해져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최근에는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고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내시경 기반의 ‘최소침습 치료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 치료는 작은 절개만으로 내시경을 삽입해 탈출된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신경 압박을 유발하는 병변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기존 수술에 비해 주변 근육과 인대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통증과 회복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의 부담이 적다.

내시경 디스크 수술은 치료 정확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현대 척추 치료의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수술이 두려워 치료를 망설였던 환자들에게는 희소식이다. 단, 모든 디스크 환자가 내시경 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등 보존적 치료가 우선되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정밀 진단을 거쳐 수술적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디스크 질환은 조기 진단과 정확한 치료가 핵심이다. 증상을 오래 방치하면 일상생활은 물론 업무 수행에도 큰 제약이 생기고, 심할 경우 하지 마비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허리통증이 반복되거나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MRI 등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허리통증을 단순 근육통으로 착각하고 넘어가기보다는 정확한 원인을 밝히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더 큰 고통과 비용을 막는 길이다. 특히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이라면 척추 건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초기 증상을 무시하지 말고 정형화된 치료 시스템을 갖춘 병원을 찾아 진단받는 것이 중요하다.

(글 :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