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윤재승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환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핵심 요인으로 ‘소득 수준’을 지목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소득이 낮을수록 제2형 당뇨병 환자가 겪는 중증 저혈당 위험이 최대 2.5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국내 국민건강정보데이터베이스(NHID)와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데이터를 활용해, 한국과 영국의 제2형 당뇨병 환자 약 185만 명의 건강 정보와 소득 변화 추이를 심층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소득 수준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최하위 소득군 환자는 상위 소득군에 비해 중증 저혈당 발생 위험이 약 2.5배 높았고, 특히 1년 이상 의료급여를 받은 환자의 위험도는 71% 증가했다. 반면, 최근 5년간 소득이 꾸준히 상승해 상위 그룹으로 이동한 환자들은 위험이 약 26% 감소했다.

이 같은 연관성은 특히 남성, 인슐린을 쓰지 않는 환자, 만성신장질환이 없는 사람, 당뇨병 진단 후 기간이 짧은 환자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좌측에서부터) 윤재승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김미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임상강사,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 (성빈센트병원 제공)
(좌측에서부터) 윤재승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김미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임상강사,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 (성빈센트병원 제공)
윤재승 교수는 “중증 저혈당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응급 치료가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며 “소득 수준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더 큰 건강 위험에 노출된다는 사실은 의료 접근성과 지원 정책에 큰 시사점을 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는 저소득층 환자를 위한 경제적 지원과 질병 특성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전략이 왜 중요한지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사례”라며, “단순한 치료를 넘어선 포괄적인 건강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JAMA)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돼 학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