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간담회는 의료 현장에서 검증된 AI 기술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단장 조금준 연구부원장, 이민우 부단장, 박상용 운영기획팀장, 허재은 R&D팀장과 서상열 위원장, 방은경 구로구의회 행정기획위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주요 논의 내용은 정밀의료 데이터의 민간 R&D 연계 기반 구축과 병원-기업 공동 임상 플랫폼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었다. 또한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 현실화, 공공데이터 활용 체계 정비, 공공의료기관 예산 편성 기준 개선 등 실무 중심 정책 개선도 제기됐다.

조금준 연구부원장은 “고려대 구로병원은 AI 의료기술 실증 중심 기관으로, 개방형실험실을 통해 기업과 협력하며 임상 현장에서 기술의 성능과 실효성을 꾸준히 검증해왔다”며 “의료 AI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려면 데이터, 제도, 임상 신뢰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 이번 간담회가 정책 설계에 방향을 제시하고, 구로병원이 의료 AI 생태계의 중심 역할을 이어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상열 위원장은 “AI경쟁력강화특위는 AI 기술력과 인재, 인프라를 점검하며 서울시가 AI 선도도시로 발돋움하도록 지원하는 조직”이라며 “이번 간담회로 의료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고, 고령층·산모·장애인 등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AI를 접목하는 공공정책을 추진하겠다. 의료 AI를 선도하는 구로병원과 협력해 실질적 정책 실행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은 AI 기반 의료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목표로 스타트업 및 기업과 협력 중이다. 임상 데이터 연계, 알고리즘 검증, 의료기기 평가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술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