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을 받는 진행성 간암 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10여 년간 추적해 진행됐다. PBIS는 호중구-림프구 비율, C-반응성 단백질, 인터루킨-2, 인터루킨-12 등 4가지 염증 관련 지표를 종합해 산출하며, 이 중 2가지 이상이 정상치를 벗어나면 고위험군으로 분류한다.
결과적으로 PBIS가 높은 환자는 사망 위험이 3.6배, 암 진행 위험도 2.1배 더 높았다. 반면, 표적치료제인 렌바티닙군에서는 PBIS가 치료 반응과 무관해, PBIS가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면역치료에 특화된 예측 지표임을 입증했다.
간암은 수술이 어려운 진행 단계에서 면역항암제가 표준 치료로 자리 잡았지만, 반응률이 30% 내외에 그쳐 맞춤형 치료가 절실했다. 이번 연구는 간단한 혈액 검사로 환자별 면역치료 반응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연구는 ‘Frontiers in Immunology’에 발표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