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제37회 아산상 수상자로 25년간 케냐와 말라위에서 약 80만 명의 의료 혜택을 이끈 정춘실 성 데레사 진료소장(59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 소장은 1999년 간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아프리카 저소득 지역에서 의료 인프라를 구축하며 현지 주민 삶에 큰 도움을 줬다.

의료봉사상은 26년간 17개국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844명의 무료 수술을 집도하고 현지 의료진 3000여 명을 교육한 서울대 김웅한 교수(62세)가 받았다. 김 교수는 의료지원뿐 아니라 국제보건 교육과 인식 개선에도 힘썼다.

사회봉사상은 27년간 노숙인과 고립 청년을 지원하며 ‘바하밥집’ 무료급식소와 ‘푸른고래 리커버리센터’를 운영한 김현일(59세)·김옥란(53세) 부부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소외계층의 자립과 회복을 돕는 데 헌신해왔다.

(왼쪽부터) 제37회 아산상 수상자 정춘실 성 데레사 진료소장(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제37회 아산상 수상자 정춘실 성 데레사 진료소장(오른쪽)이 케냐 소외지역 환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왼쪽부터) 제37회 아산상 수상자 정춘실 성 데레사 진료소장(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제37회 아산상 수상자 정춘실 성 데레사 진료소장(오른쪽)이 케냐 소외지역 환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제공)
시상식은 11월 25일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에서 열린다. 정 소장에게는 3억 원, 김 교수와 김 부부는 각각 2억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이외 복지실천상 등 6개 부문 수상자 18명에게 총 10억 원이 배분된다.

정춘실 소장은 인천 출신으로 1995년 수녀로 종신서원 후, 영국에서 간호학을 전공하며 전문성을 키웠다. 2000년부터 케냐와 말라위에서 의료봉사에 헌신하며 빈민 의료시설을 설립하고 운영해왔다. 케냐 ‘성 데레사 진료소’는 연간 2만8000 명을 치료하며 현지 의료진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김웅한 교수는 1999년부터 중국, 몽골 등에서 선천성 심장병 환아 수술과 의료진 교육에 힘썼다. 환자들과 사회 인식 개선을 위해 꾸준히 활동하며, 환아들과 함께 히말라야 등정을 하기도 했다.

김현일·김옥란 부부는 1998년부터 노숙인과 고립 청년을 돕기 시작해, 무료급식소와 회복센터를 통해 이들의 자립과 사회 복귀를 지원해왔다.

아산상은 1989년 제정돼 매년 사회복지와 효행에 헌신한 개인과 단체를 선정해 상을 수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