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성장과정 중 이상한 피부 변화·손발 저림·소화장애 등 놓치지 말아야
10세 전후 발생하는 희귀 자가면역 질환, ‘청소년 전신경화증’ 인식 필요
김영대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최근 ‘대한류마티스학회지(Journal of Rheumatic Diseases)’에 발표한 자료를 통해, “청소년 전신경화증은 매우 드물지만 진행이 빠르고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신경화증은 피부와 내부 장기의 섬유화가 진행되는 결체조직 질환이다. 결체조직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기본 조직 중 하나로, 다른 조직이나 기관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폐, 심장, 신장, 위장관 등 주요 장기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단일 증상만으로는 감별이 어렵고 성장기 아이들의 정상 발달 과정과 혼동되기 쉬워 보호자와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김영대 교수는 “전신경화증은 증상이 모호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는 병”이라며 “면역억제제나 생물학적 제제를 포함한 조기 치료와 장기별 보조 치료가 병행된다면 장기 손상을 막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치료에는 메토트렉세이트, 마이코페놀레이트 등 면역억제제뿐 아니라 최근에는 다양한 생물학적 제제가 활용되고 있으며, 물리치료 및 호흡기·심장 기능을 보조하는 약물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청소년 전신경화증은 흔치 않은 희귀 질환으로, 일반인은 물론 의료진에게도 생소할 수 있다. 대부분 10세 전후에 발병하며, 초기 증상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포착할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