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혈액형 분류 체계와 수혈 기준 중 일부는 서양인의 혈액형 분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에는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조덕 삼성서울병원 교수, 윤세효 하버드의대 전공의, 임하진 전남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동아시아와 서구의 혈액형 분포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수혈의학 분야 권위지 ‘Transfusion’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에서는 AB형 비율이 5~12%로 높은 반면 RhD 음성은 0.1~1%에 불과하다. 반면 유럽은 각각 3~8%, 11~19%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런 혈액형 분포 차이가 수혈 시스템 설계에도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과 일본에서 상대적으로 흔한 ‘cis-AB형’은 일부 자동화 장비에서 AB형으로 오진될 수 있어, 부적절한 수혈 시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한 용혈사고 가능성도 있다.
서양인에게는 없는 ‘아시안-타입 DEL’ 혈액형도 문제다. 기존 검사로는 RhD 음성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소량의 RhD 항원을 가지고 있어 RhD 음성 환자에게 수혈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RHD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자주 발견되는 Mia, Dia 항원에 대한 항체도 서양 기준 검사 키트로는 검출이 어렵다. 이로 인해 국내외에서 급성 용혈 반응 및 태아신생아용혈질환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조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서양 중심 수혈 기준이 보편적일 수 없음을 보여준다”며 “의료 시스템도 인종적 다양성을 반영한 정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