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예가 카페인이다. 커피, 녹차, 콜라, 초콜릿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과도하게 흥분시켜 불안과 공황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손지웅 원장은 "디카페인 제품 역시 소량의 카페인을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술 또한 위험 요소다.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는 자율신경계에 흥분을 유도해, 숙취뿐 아니라 공황 증상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흡연 역시 공황장애에 악영향을 미친다. 니코틴은 도파민 분비를 일시적으로 촉진해 기분을 좋게 만들지만, 이후 더 큰 불안과 중독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흡연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는 두뇌 산소 공급을 저하시켜, 호흡과 심박수 증가를 통해 공황 증상을 악화시킨다.
손 원장은 "공황장애 환자에게 정제 탄수화물, 가공식품, 고지방 음식 등을 줄이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식단을 권장한다. 대신 마그네슘, 트립토판, 비타민 B,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은 신경안정과 기분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예방과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