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자궁근종 치료 환자는 2018년 약 40만 명에서 2022년 61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40~50대 환자 비율이 높았다. 자궁근종은 50대 여성의 70~80%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부인과 양성 종양이며,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폐경 이후 자연 소실된다는 오해로 치료를 늦추면 빈혈 악화나 주변 장기 폐쇄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자궁육종 가능성도 있어 신중한 진단이 필요하다.
주요 증상은 생리 과다, 비정상 자궁출혈, 복부 팽만, 골반 통증, 변비, 성교통 등으로, 근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증상이 달라진다. 특히 방광을 압박하는 근종은 배뇨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서종욱 교수는 “작은 신체 변화라도 간과하지 말고 전문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건강한 미래를 위한 현명한 선택”이라고 당부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