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우진엔텍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 10월부터 2026년 9월까지 2년간 진행된다.
이번 과제의 핵심은 AI 기술을 활용해 방사선원의 위치를 영상으로 시각화하고, 누출된 방사선원의 종류까지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다. 우진엔텍은 이 시스템을 통해 원자력발전소 등 고위험 산업시설에서의 실시간 방사능 모니터링과 사고 대응 체계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감마선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국산화는 기존 해외 수입 제품 의존도를 낮추고, 생산 단가를 절감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막대한 수입 대체 효과는 물론, 향후 국내외 원자력 산업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진엔텍은 이번 과제를 통해 감마선 영상 기술의 독자적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AI 기반 융합 안전 기술 분야에서 미래 원자력 안전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박현진 하이뉴스(Hinews) 증권팀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