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부터 귀가까지 지원… 공공 의료돌봄 체계 강화

[Hinews 하이뉴스] 경기도가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를 통해 현재까지 총 1만7천여 건의 병원 동행 지원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업은 병원 방문이 어려운 1인가구를 대상으로, 진료 예약부터 접수, 수납, 귀가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맞춤형 돌봄 서비스다.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담당자 교육 (경기도 제공)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담당자 교육 (경기도 제공)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은 민선 8기 공약 과제로, 「경기도 1인가구의 기본 조례」에 따라 도내 1인가구의 안전한 의료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대상은 일반적인 1인 가구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혼자 병원 이용이 어려운 한부모, 노인가구, 조손가구 등도 포함된다.

서비스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 등 전문 인력이 병원 동행 및 진료지원, 수납·접수 보조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성남, 안산, 광명, 양평 등 11개 시군에서 시행 중이며, 신청은 각 시군의 1인가구지원센터나 가족센터 등 지정기관을 통해 전화 또는 민원24 누리집·앱으로 가능하다. 교통비는 본인 부담이며, 서비스 이용 요금은 관내 기준 5,000원(3시간)이다.

2023년 첫해에는 4,237건, 2024년에는 8,497건의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올해는 5월 말 기준 4,626건을 기록했다. 이 중 동행지원은 2,011건, 상담은 2,522건, 유사 서비스 연계는 93건으로, 상반기에만 전년도 실적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

이용자 만족도도 매우 높다. 지난해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동행인의 친절도, 서비스 과정, 삶의 질 향상 등에 대한 평가에서 평균 4.98점(5점 만점)을 기록했다. 한 이용자는 “아무 희망도 없었는데 병원 동행인의 도움으로 삶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됐다”고 밝혀, 단순한 의료 지원을 넘어 정서적 안정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기도는 지난 6월 18일과 27일, 경기상상캠퍼스에서 사업 담당 공무원과 수행기관 운영자, 동행인 등 총 58명을 대상으로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실무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응급처치, 안전보건, 민원 응대, 감정노동 스트레스 관리 등 실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됐으며, 향후 2026년 사업 확대 및 차량 지원 등 새로운 운영 방안도 공유됐다.

윤영미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몸이 아플 때 혼자 대처하기 어려운 1인가구를 위해 병원안심동행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고령화와 1인가구 증가에 대응해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