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타임 단축 위한 현장-병원 간 연계 강화

[Hinews 하이뉴스]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응급환자의 신고부터 병원이송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한 ‘전북형 응급환자 이송체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오는 7일부터 참여 병원을 기존 24개소에서 32개소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전북소방 119상황실 (전북도 제공)
전북소방 119상황실 (전북도 제공)

이번에 새롭게 참여하는 병원은 전주시의 자인플러스병원, 전주기독병원, 익산시의 수사랑병원, 군산시의 누가병원, 정읍시의 한국병원, 김제시의 믿음병원, 고창군의 석정웰파크병원, 남원시의 남원병원 등 총 8개소다. 이들 병원은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으로 진료역량과 지역 접근성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전북형 응급환자 이송체계’는 119구급대원이 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와 증상 정보를 119스마트시스템에 입력하면, 다수의 병원에 동시에 전송되고 각 병원은 실시간으로 수용 가능 여부를 회신해 이송 병원을 신속히 결정하는 방식이다. 기존 유선 전화 방식보다 효율성이 높아져 골든타임 확보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 시스템은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됐으며, 전북소방본부와 복지여성보건국이 협력해 설명회, 시연회, 실무 TF 회의 등을 통해 체계적인 운영 기반을 다져왔다.

운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시범운영 기간이었던 지난해 11~12월 평균 병원 응답률은 53%였으나, 올해 상반기(1~6월)에는 64%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병원 이송 평균 소요 시간도 작년 상반기 19분 35초에서 올해는 18분 55초로 41초 단축돼, 실질적인 골든타임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전북소방본부는 신규 병원에 대해 시스템 설치와 교육을 완료했으며, 각 소방서 구급대원에게 병원 정보와 활용 지침도 배포한 상태다. 앞으로도 병원 응답률과 이송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역 의료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장은 “이번 참여병원 확대는 단순한 숫자 증가가 아니라, 응급의료 연계의 밀도와 범위를 높이는 중요한 진전”이라며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현장과 병원 간 연결고리를 더욱 촘촘하게 다듬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