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서남병원에서 퇴원연계서비스를 이용한 근골격계 질환자 15명과 간호사, 의료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환자들은 정보 부족과 서비스 절차의 복잡성을 겪으면서도 맞춤 상담과 정서 지원에는 큰 만족을 보였다. 퇴원 후 재활 치료와 방문 돌봄 서비스가 특히 필요하다는 의견도 도출됐다.
서비스 제공자들은 돌봄 가족 부재, 경제적 어려움 등이 환자의 지역사회 복귀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 지적했다. 또한, 다학제 협력과 지역사회 자원 연계가 성공적인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이며, 표준화된 가이드라인과 전문 인력 확보가 중요한 지원책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퇴원연계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입원 초기부터 환자와 가족에 충분한 정보 제공, 의료진 간 협력 강화,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 최적화, 환자의 자기 관리 능력 향상을 강조했다. 특히, 이용자와 제공자 간 인식 차이를 줄이고 개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결론 냈다.

교신저자 곽은영 팀장도 “병원과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력이 근골격계 환자 성공적 복귀의 핵심”이라며 “이용자와 제공자 간 인식 차이를 해소하고, 개인별 맞춤 지원과 서비스 표준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