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주영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교수는 “무좀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가 주원인으로, 주로 발에 발생한다. 덥고 습한 날씨는 무좀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 여름에 특히 빈번하다”고 설명했다.

발 무좀은 크게 ‘지간형’(발가락 사이 발생), ‘각화형’(발바닥 전체가 두꺼워짐), ‘수포형’(물집 발생)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손 무좀은 손바닥에 주로 생기며, 가벼운 홍반과 각질이 동반된다.
무좀 예방과 개선을 위해선 목욕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흡수력이 좋은 면 양말을 신는 게 중요하다. 다한증이 있으면 진균 감염 완치가 어려워 다한증 치료도 함께 해야 한다.

치료는 항진균 크림이나 연고를 감염 부위와 주변에 충분히 바르거나, 필요 시 경구용 약을 복용한다. 또한 청결 유지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꽉 끼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
노 교수는 “식초, 마늘 등 민간요법은 피부를 손상시켜 2차 세균 감염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길 권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