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본격적인 여름철, 습도가 높아지면서 피부 질환 환자가 급증한다. 특히 ‘무좀’이라 불리는 백선은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곰팡이 감염증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균이 활발히 증식해 환자 수가 늘어난다.

노주영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교수는 “무좀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가 주원인으로, 주로 발에 발생한다. 덥고 습한 날씨는 무좀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 여름에 특히 빈번하다”고 설명했다.

고온다습한 여름철, 무좀은 재발이 잦아 정확한 치료와 예방이 필수다. (클립아트코리아)
고온다습한 여름철, 무좀은 재발이 잦아 정확한 치료와 예방이 필수다. (클립아트코리아)
무좀은 발가락 사이뿐 아니라 손바닥, 손가락, 그리고 손발톱에도 생길 수 있다. 진균 감염 중 가장 흔하며, 인구의 30~70%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발 무좀은 크게 ‘지간형’(발가락 사이 발생), ‘각화형’(발바닥 전체가 두꺼워짐), ‘수포형’(물집 발생)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손 무좀은 손바닥에 주로 생기며, 가벼운 홍반과 각질이 동반된다.

무좀 예방과 개선을 위해선 목욕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흡수력이 좋은 면 양말을 신는 게 중요하다. 다한증이 있으면 진균 감염 완치가 어려워 다한증 치료도 함께 해야 한다.

노주영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교수
노주영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교수
노 교수는 “무좀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악화하거나 재발하므로 반드시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며 “무좀과 습진이 헷갈려 임의로 약을 쓰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치료는 항진균 크림이나 연고를 감염 부위와 주변에 충분히 바르거나, 필요 시 경구용 약을 복용한다. 또한 청결 유지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꽉 끼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

노 교수는 “식초, 마늘 등 민간요법은 피부를 손상시켜 2차 세균 감염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길 권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