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연령별 사용 제한 달라… 안전 확인 후 사용 권고

여름철 모기는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각종 감염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모기가 기피하는 성분을 활용한 의약외품 모기 기피제 사용이 효과적인 예방법으로 권장된다.
대표적인 유효성분은 디에틸톨루아미드, 이카리딘,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파라멘탄-3,8-디올 등이 있으며, 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사용 가능 연령이 달라 적절한 제품 선택이 중요하다.
사용 방법은 팔, 다리, 목 등 노출된 피부나 의류·양말·신발 등에 뿌리거나 얇게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얼굴에는 손에 덜어 눈과 입을 피해 발라야 하며, 어린이에게 사용할 때는 반드시 보호자가 손에 덜어 발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는 보통 4~5시간 지속되지만 필요 이상으로 자주 사용하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알레르기·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4시간 이내 반복 사용은 피해야 한다. 외출 후에는 기피제가 묻은 피부를 비누와 물로 씻고, 옷과 양말은 세탁해야 한다.
모기 기피제는 상처나 염증 부위, 점막, 햇볕에 많이 탄 피부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피부 이상 반응이 발생하거나 눈에 들어간 경우 즉시 물로 씻고 필요 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허가된 팔찌형·스티커형 모기 기피제는 없으므로, 소비자는 향기 나는 팔찌나 스티커형 공산품을 의약외품으로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제품 구매 시 용법·용량, 효능·효과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포장에 ‘의약외품’ 표시가 있으며 식약처에 허가·신고된 제품인지 ‘의약품안전나라’를 통해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가 안심하고 의약외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 사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소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