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통해 사회 적응·취업 돕는다

국무조정실이 지난 3월 발표한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거의 집에만 머무르는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5.2%였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취업 어려움(32.8%)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인간관계의 어려움(11.1%), 학업 중단(9.7%)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 8월부터 서울 은평구 소재 (사)씨즈와 협력해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심층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충북청년미래센터와 연계해 충북 지역 청년들의 사회 적응을 돕는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특히 지난 7월부터 충북청년미래센터를 찾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월 1회 심층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8월 22일에는 상담실에서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청년 지원정책 안내, 직업심리검사 결과를 활용한 진로 상담, 취업 준비와 관련한 고민 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입사지원서 작성과 면접 클리닉 등 1대1 맞춤형 진로·취업 상담도 함께 제공한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청년정책 포털 ‘온통청년’을 통해 일반 청년뿐만 아니라 고용서비스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까지 지원하고 있다”며 “충북청년미래센터에서 운영되는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가 청년들의 사회 적응과 성공적인 사회 진출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소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