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패스오더 분석에 따르면, 계절이 바뀔 때마다 제철 재료를 활용한 음료의 판매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2024년 여름 판매가 미미했던 밤 음료는 가을 시즌 출시 후 판매량이 약 12배 늘었다. 계절 한정 메뉴가 짧은 시기에도 강력한 매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F&B 시장에서 주목받는 ‘제철코어’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사진=패스오더
사진=패스오더

‘제철코어’란 특정 시기에만 누릴 수 있는 경험을 놓치지 않으려는 소비 성향을 의미한다. 단순히 음식을 넘어 패션·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산되며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았다. 실제로 여름철에는 토마토 모티프 상품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0% 이상 증가하는 등, 계절감이 담긴 소비가 두드러졌다.

이 같은 트렌드에 맞춰 브랜드들도 가을 한정 신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이디야커피는 △헤이즐넛 아메리카노 △헤이즐넛 젤라또 카페모카 △헤이즐넛 티라미수를 선보였으며, 던킨은 9월 이달의 도넛으로 ‘가을 밤 필드’를 출시했다. 투썸플레이스는 ‘고구마 생크림 케이크’를 출시했고, 메가MGC커피는 여주쌀을 활용한 시즌 한정 메뉴 2종을 내놓을 예정이다.

플랫폼 데이터는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하는 프랜차이즈 업계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작용하고 있다. 한 프랜차이즈 기획 담당자는 “POS에서는 판매량이나 시간대별 주문량 정도만 확인할 수 있어 고객의 성별이나 선호 음료 같은 세부적인 정보는 파악하기 어려웠다”며, “패스오더는 시간대·연령별 소비 패턴과 고객 취향까지 분석할 수 있어 언제 어떤 고객이 어떤 음료를 원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덕분에 신메뉴 기획 과정에서 시장 조사에 소요되던 리드타임이 이전 대비 약 20%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패스오더 관계자는 “패스오더는 소비자가 다양한 브랜드 메뉴를 한 곳에서 보고 주문·결제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여기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사의 신메뉴 전략 수립과 매장의 운영 효율 개선까지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실제 매출 증대와 운영 효율 개선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한다. 앱을 통한 주문·결제가 정착되면서 매장은 수령·제공에 집중할 수 있고, 본사의 기획 전략은 현장에 보다 신속하게 반영되는 방식이다.

제철 소비는 가을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계절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봄에는 체리와 유자, 여름에는 수박과 토마토, 겨울에는 딸기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주요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이를 신메뉴 기획과 마케팅 전략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소비 데이터 기반의 메뉴 개발은 '감'에 의존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근거' 중심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신제품 성공률을 높이고 비용 낭비를 줄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업계에서는 모바일 주문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층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결국 데이터는 트렌드를 읽는 도구를 넘어, 매출과 운영 효율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F&B 업계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