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암 진단을 받고도 흡연을 이어가면 심근경색 위험이 64%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암을 계기로 금연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지고, 특히 심방세동은 비흡연자 수준까지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동욱·조인영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암 진단 전후로 건강검진을 받은 26만9000여 명을 2019년까지 추적 조사했다.

연구팀은 흡연 습관 변화에 따라 환자들을 네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암 진단 전후에도 계속 흡연한 ‘지속 흡연군’, 암 진단을 계기로 금연한 ‘금연군’, 암 이후 흡연을 시작했거나 다시 피기 시작한 ‘재흡연/흡연 시작군’, 그리고 처음부터 비흡연자인 ‘지속 비흡연군’으로 분류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속 흡연군은 심근경색 위험이 비흡연군에 비해 64% 높았고, 허혈성 뇌졸중은 61%, 심부전은 55% 더 높았다. 흡연을 중단하지 않은 것이 심혈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재흡연 또는 암 진단 이후 흡연을 시작한 그룹도 심근경색 위험이 53%, 허혈성 뇌졸중 29%, 심부전 28%까지 증가했다. 반면 금연군은 세 질환 모두 위험이 일정 부분 남아 있었지만, 흡연을 지속한 그룹보다는 확실히 낮았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심방세동 위험이다. 금연군은 비흡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로 위험이 낮아졌고, 재흡연군 역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흡연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질환 발생 가능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왼쪽부터) 신동욱·조인영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왼쪽부터) 신동욱·조인영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학교 교수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조인영 교수는 “암 환자에게 금연은 단순한 생활 습관 개선이 아니라 치료 성과와 생존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의 적극적인 금연 지도와 함께 정책적인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책임자인 신동욱 교수는 “흡연은 혈관 손상과 염증, 혈전 형성을 촉진해 심혈관질환 위험을 키운다”며 “항암치료로 심장에 부담이 가중된 암 환자에게는 이중의 위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혼자 금연하기 어렵다면 의료진의 상담이나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