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수진 고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팀이 심정지 소생 환자의 혈압 유지에 적합한 목표치를 제시했다. 연구에 따르면 소생 직후 첫 6시간 동안 평균 동맥압을 약 80mmHg로 유지하는 것이 뇌 기능 회복에 가장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80mmHg보다 낮거나 높으면 예후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는 심장이 멈춰 혈액 순환이 중단되는 상태다.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로 맥박이 돌아와도, 이후 세심한 중환자 치료가 필수다. 기존 국제 가이드라인은 평균 동맥압 60~65mmHg 이상 유지만 권고했으나, 구체적 수치는 불명확했다.

이번 연구는 고대안암병원으로 이송된 성인 심정지 생존자 291명의 데이터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했다. 초기 심전도 리듬, 심폐소생술 시간, 혈압 변화 등 다양한 임상 정보를 종합해 최적 혈압과 유지 시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또한 제세동 가능 리듬과 짧은 심폐소생술 시간이 좋은 예후와 연관됐고, 목격 심정지 및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조기 재관류도 예후에 긍정적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왼쪽부터) 김수진, 이시진 고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고대안암병원)
(왼쪽부터) 김수진, 이시진 고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고대안암병원)
김수진 교수는 “맥박이 돌아왔다고 끝이 아니라 즉시 전문 치료를 받아야 뇌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며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과 의료기관에서의 후속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대안암병원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활발히 진행하며 심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을 돕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Intensive Care’에 게재돼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