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문제로는 임플란트 주위염, 보철물 탈락, 보철물 파절 등이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보철물과 잇몸 사이 틈으로 세균이 침투하면서 발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조골이 점차 소실되며, 방치할 경우 보철물 탈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자연치아와 달리 임플란트 부위에는 신경이 남아있지 않아,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환자는 상태가 악화한 후, 뒤늦게 내원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재수술이 불가피한 상황도 발생한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보철물 파절이다. 임플란트에 과도한 저작력이 가해지거나 단단한 음식을 집중적으로 씹으면 발생하며, 지대주가 힘을 제대로 분산하지 못하면, 파절할 위험은 더 커진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히 음식 섭취의 불편을 넘어 보철물의 내구성 저하와 임플란트 자체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세균 침투 가능성을 줄이고, 힘이 균일하게 분산돼 보철물 파절 위험도 현저히 낮아진다. 또 맞춤형 지대주는 나사 풀림 현상을 완화해 장기간 안정적인 유지에도 유리하다.
다만, 맞춤형 지대주를 사용했다고 해서 모든 위험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주위에 치석이나 치태가 쌓이면 임플란트 주위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환자 스스로 올바른 구강 위생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 칫솔질은 물론 치간 칫솔과 치실을 활용해 보철물과 잇몸 경계를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3~6개월 주기로 검진과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플란트의 성공 여부는 단순히 수술 기술에만 달려 있지 않다. 환자의 구강 구조, 잇몸뼈 상태, 생활 습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 계획 수립, 그리고 수술 이후 철저한 관리가 동반돼야 장기간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임플란트를 고려하는 환자라면 단기적인 편의 보다 장기적인 안전성과 관리 체계를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글 : 고상훈 고르다치과의원 강남점 대표원장)
키워드
#임플란트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