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감기뿐 아니라 사마귀 환자도 부쩍 늘어난다. 한 번 치료했던 사마귀가 다시 올라오거나, 없던 부위에 새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피부의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마귀는 면역력과 기혈순환이 밀접하게 연관된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한다. 평소에는 인체의 방어체계가 이를 억제하지만, 환절기에는 피로와 건조함, 수면 부족 등으로 면역 기능이 흔들리기 쉽다. 한의학에서는 이런 상태를 ‘기혈의 소통이 막힌 상태’, 즉 삼초(三焦)가 막혀 몸의 순환이 흐트러진 상태로 본다. 삼초는 상초·중초·하초로 나뉘어 전신의 수분대사와 면역 흐름을 조절하는 기관으로, 그 소통이 원활해야 면역이 제 기능을 한다.

손인미 미소로한의원 천안점 원장
손인미 미소로한의원 천안점 원장
사마귀는 처음에는 작은 좁쌀 크기의 돌기나 각질성 구진으로 나타난다. 손가락, 발바닥, 얼굴, 목 등 노출 부위에 잘 생기며, 표면이 거칠고 눌렀을 때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발바닥 사마귀는 티눈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가운데에 검은 점이 보이거나 걸을 때 찌릿한 통증이 있다면 사마귀일 가능성이 높다. 손끝 주변에 생긴 사마귀는 손톱이 갈라지거나 변형을 일으키며, 면역이 약한 경우 여러 개로 퍼질 수 있다. 무심코 긁거나 손질하면 주변으로 바이러스가 옮겨 확산되기도 하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사마귀 치료의 핵심을 ‘면역력 강화’에 둔다. 단순히 바이러스만 없애는 것이 아니라, 몸이 스스로 이를 이겨낼 수 있는 내재적 방어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면역이 약한 상태에서는 외부 바이러스뿐 아니라 체내 노폐물의 순환도 원활하지 않아 사마귀가 쉽게 재발한다. 따라서 치료 과정에서는 간과 비위의 기능을 조화롭게 다스려 전신의 면역 흐름을 안정시키고, 피로와 냉증, 불면 등의 원인까지 함께 관리한다. 이를 통해 몸의 ‘방어 에너지’를 회복시키면 사마귀뿐 아니라 감기, 구내염, 단순포진 등 면역성 질환의 재발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삼초소통 치료를 병행한다. 상·중·하초의 순환을 도와 면역 균형을 회복시키고, 냉증·피로·소화불량 등 동반 증상을 함께 다스린다. 단순히 사마귀 병변만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재발하지 않는 체질로 회복시키는 치료에 중점을 둔다. 면역 기능을 조절하고 체내 열·한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한약은 장기적인 재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마귀 주변 혈자리에 침을 놓아 국소 면역 반응을 높이고, 체내 에너지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사마귀 부위에는 염증을 완화하고 피부 재생을 돕는 한방 외용요법을 함께 적용한다. 사마귀가 생긴 부위에는 한방 외용요법을 병행해 염증 완화와 피부 재생을 돕는다. 예를 들어, 약재를 달여 만든 연고나 파스를 이용해 피부 조직의 회복을 촉진한다. 생활관리도 역시 중요하다.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 손 씻기와 보습 습관은 피부 방어력을 높인다. 스트레스가 면역 억제의 주 원인 중 하나이므로, 마음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치료의 일부로 본다.

한의학에서는 ‘피부에 드러난 것은 내부의 흐름이 막혔다는 징후’라 말한다. 환절기마다 반복되는 사마귀라면 단순히 외형적 제거에 그치지 말고, 삼초의 소통을 회복해 몸 안의 면역길을 열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사마귀는 단순한 바이러스 질환이 아니라, 몸이 보내는 작은 경고일 수 있다.

(글 : 손인미 미소로한의원 천안점 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