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외 소포체(EV)는 세포 간 신호 전달과 질병 진단·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크기의 소포체다. 기존 초원심분리법은 고가 장비와 복잡한 전처리 과정, 낮은 처리량 등의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하이드로젤을 얼리고 빛으로 굳히는 과정에서 약 400nm 크기의 미세 다공성 구조를 만들어, 선택적으로 세포외 소포체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로써 복잡한 장비 없이도 다양한 생체액에서 세포외 소포체를 빠르고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암, 신경퇴행성 질환, 대사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에 활용될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정밀 의료, 신약 개발, 체외 진단 등 바이오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강지윤 KIST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분리법의 한계를 넘어 효율성과 접근성, 대량 처리 가능성에서 강점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T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