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와 혼동 쉬워
다리 저림·보행 장애 땐 정확한 진단 필요
◇60대 이후 허리통증, 원인은 디스크보다 ‘이것’
척추관협착증은 흔히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와 혼동되지만, 병의 원인과 양상은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오면서 신경을 압박하고 자극해서 신경이 지배하는 하지 부위에 급성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인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뼈나 인대, 관절이 퇴행성 변화에 의해 비후되어 척추관이 점점 좁아져 신경을 만성적으로 압박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주로 30~40대에 발생하고, 척추관협착증은 6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난다.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허리 통증 외에도 다리 저림, 감각 저하, 보행 시 통증 악화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특히 ‘간헐적 파행’이라 불리는 증상은 일정 거리 이상 걷다 보면 다리에 통증이나 저림이 생겨 잠시 쉬었다가 다시 걸어야 하는 특징적인 증상이다.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라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병원에서 영상 검사 등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자도 부담 없이... ‘양방향 내시경’으로 척추 수술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는 증상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약물, 물리치료, 주사요법 등으로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척추에 0.8cm크기의 두개의 절개만으로 협착증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 개방 수술보다 출혈과 감염 위험이 적고, 근육 손상이 거의 없어 회복이 빠르며 흉터도 작다. 특히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자처럼 수술 부담이 큰 환자에게 적합하다.
강민석 교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병변 부위만 정밀하게 접근해 치료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령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등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주최한 2020년도 환자중심의료기기 최적화 연구사업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에서 양방향 내시경적 수술과 관혈적 현미경 수술의 다기관 무작위배정 연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회에서 “척추관협착증에서도 내시경 수술을 통해 신경 감압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기존 수술법 대비 근손실, 흉터, 통증 등의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