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요로결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33만5628명이며, 7월(4만4419명)과 8월(4만8468명)에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2021년과 2022년에도 같은 시기에 환자 수가 최고를 기록했다.

이장희 인천힘찬병원 비뇨의학과 과장은 “여름철 땀으로 체내 수분이 줄면 소변량이 줄고 농축되며, 칼슘 등의 결정이 잘 생긴다”고 설명했다.
요로결석은 옆구리나 복부에 칼이나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한다. 함께 혈뇨, 빈뇨, 탁뇨, 구토, 고열 등이 나타날 수 있고, 결석의 위치에 따라 회음부 통증이나 맹장염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이 과장은 “증상을 방치하면 신부전이나 요로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엔 마취 위험이 낮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일 수술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장은 “요로결석은 한 번 발생하면 재발률이 매년 약 7%씩 증가한다”며, “식단 조절과 함께 충분한 수분 섭취로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