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피부 재건에 널리 쓰이는 피부 피판은 말단부 혈류 저하로 조직 괴사가 빈번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지웅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성형외과 교수팀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진이 공동으로 ‘산소 발생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하이드로겔은 체내 삽입 시 일정한 속도로 산소를 방출한다. 산소 생성 입자에는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효소가 코팅돼 있어 조직 손상을 최소화한다. 젤라틴 기반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작된 이 소재는 피부 피판 끝부분에 산소를 공급해 혈류 저하로 인한 조직 손상을 크게 줄였다.

쥐 피부 실험 결과, 산소 농도 0.2%에서 피부 생존률과 혈류가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반면 농도가 0.5%로 높아지자 염증과 조직 손상이 오히려 심해졌다. 적정 산소 공급이 치료 효과의 핵심임을 입증한 셈이다.

박지웅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성형외과 교수
박지웅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성형외과 교수
조직 내에서는 혈관 신생 신호 단백질(VEGF),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유전자(PGC-1α, NRF-1), 항산화 효소(SOD)가 증가했고, 염증 지표와 세포 자멸 현상은 감소했다. 조직 회복 기전이 전방위로 작동함을 보여준다.

박지웅 교수는 “당뇨발성 궤양, 허혈성 근육 질환 등 다양한 재생의학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며 “정밀 산소 조절이 가능한 생체재료가 재생 치료의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저명 학술지 Bioactive Materials 2025년 5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