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가·입술·윤곽 등 부위별 차이 밝혀… 맞춤형 안티에이징 연구 강화

LG생활건강은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로 노화가 진행되는 속도를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오늘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Research)’ 에 게재되어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 의 일환으로, 비전 AI 기술을 적용한 국내 최대 규모의 얼굴 노화 연구다. 연구팀은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고, 68개의 얼굴 특징점을 기반으로 눈꼬리 각도, 입술 비율, 윤곽선 등 6가지 노화 지표를 추출했다.
AI 분석 결과,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가는 50세 이전부터 처짐이 빠르게 진행된 반면, 입술은 50세 이후 변화가 뚜렷했다. 얼굴 윤곽은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LG생활건강은 유전체 분석 기술을 통해 피부 탄력과 연관된 10개의 유전자 영역을 새롭게 발견했다. 해당 유전자들은 피부 조직 발달과 콜라겐 유지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AI와 유전체 분석을 결합한 이번 연구는 개인의 노화 패턴에 따른 맞춤형 안티에이징 솔루션 개발의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하은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