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악성 뇌종양은 전체 소아암의 약 20%를 차지하며, 소아기 암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그중 소아 고등급 교종은 뇌 신경교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성장 속도가 빠르고 재발이 잦아 예후가 불량한 난치성 질환이다. 최근 연구를 통해 소아 고등급 교종은 성인 교모세포종과 생물학적·유전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질환임이 확인되면서, 기존 성인 기준 진단·치료의 한계가 드러났다.
연구팀은 1997~2023년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수술 받은 소아 환자 78명의 조직을 재검토하고, 면역화학염색과 뇌종양 표적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통해 WHO CNS5 기준에 따른 통합 진단을 시행했다. 그 결과, 41명(52.6%)이 ‘소아 고등급 교종’으로 재분류됐다. 세부 아형은 H3 K27 변이 광범위 정중선 교종(DMG-H3K27) 11명, H3 G34 변이 광범위 반구 교종(DHG-H3G34) 5명, H3/IDH 야생형 소아 광범위 고등급 교종(DpHGG-H3wt/IDHwt) 15명, 영아형 대뇌반구 교종(IHG) 10명이었다.
특히 H3/IDH 야생형 아형 환자의 절반에서 리프라우메니증후군, 신경섬유종증 1형, 유전성 불일치복구결핍증후군 등 암소인 증후군이 확인돼, 소아 고등급 교종 진단 시 생식세포 유전분석과 가족 상담이 중요함을 시사했다.
예후 분석 결과, 영아형 대뇌반구 교종은 다른 아형보다 통계적으로 생존율이 높았다. 2년 생존율 92.3%, 5년 생존율 73.8%로, 수술 전절제(GTR)를 시행한 환자가 비전절제(non-GTR) 환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연구팀은 영아형의 상대적 양호한 예후를 고려해, 불필요한 방사선 치료는 장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환자 상태와 수술 범위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지원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Neuro-Oncology Advances’ 최근호에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