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력 높은 내성균, 감염 시 사망률도 치명적

CRE 감염증은 장내세균인 대장균, 클렙시엘라균 등이 ‘카바페넴’이라는 마지막 단계의 항생제에까지 내성을 가진 경우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치료가 매우 어렵고 면역저하자나 고령자, 장기 입원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 감염증은 병원 내 전파 가능성이 크고, 국내에서도 코로나19를 제외한 감염병 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보고된 CRE 감염증 사례는 45,347건이며, 이로 인한 사망자는 838명에 달했다. 전년도인 2023년(663명) 대비 20~30%가량 증가한 수치로, 2021년 277명, 2022년 539명에 이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CRE 감염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전파의 문제’다.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외에도, 병원 환경, 항생제가 포함된 폐수, 덜 익힌 음식 등을 통해 지역사회 내로 확산될 수 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약 90%가 항생제 내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실제로 전파 경로나 항생제 오남용의 위험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비율은 25~5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시민들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항생제는 꼭 필요할 때만 복용하기, 손 씻기와 위생 수칙 준수하기, 입원 환자와 간병인의 감염병 예방 실천 등 기본 수칙 준수를 강조하고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CRE 감염증은 전파력이 높고 치료가 매우 어려운 감염병”이라며 “특히 요양병원 등 집단시설을 중심으로 감염관리 강화와 항생제 오남용 방지를 위한 홍보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