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동진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교수와 이준현 의정부성모병원 교수 연구팀은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식도절제술(RAMIE)이 기존 흉강경 수술(MIS)보다 입원 기간을 줄이고 합병증 발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식도암 수술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진행했다. RAMIE 그룹 23명과 MIS 그룹 28명의 입원 기간과 합병증 발생률, 생존율을 비교했다고 밝혔다.

결과, RAMIE 그룹의 평균 입원 기간은 18.8일로, MIS 그룹 33.2일에 비해 크게 짧았다. 또한, RAMIE 환자 간 입원 기간 차이도 적어 회복 속도가 균일했다. 중증 폐렴 발생은 RAMIE 그룹에서 한 건도 없었고, MIS 그룹에서는 25%에 달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전체 폐렴 발생률도 RAMIE 8.7%, MIS 28.6%로 로봇수술 환자의 회복이 더 안정적이었다.

(왼쪽부터) 김동진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이준현 의정부성모병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제공)
(왼쪽부터) 김동진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이준현 의정부성모병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제공)
김동진 교수는 “로봇수술은 정밀한 기구 조작과 넓은 시야 덕분에 합병증 감소와 빠른 회복에 기여했다”며 “이번 연구로 로봇수술의 안전성과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암 치료 성과에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3년 무병 생존율은 80.2%로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병기 I기와 II기 환자에선 재발이 없었다.

은평성모병원은 식도암 협진팀을 운영하며 내시경 치료부터 수술, 항암·면역치료까지 맞춤형 다학제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위장관외과 전문의가 직접 로봇수술로 복강과 흉강 수술을 병행해 위암과 식도암이 동시에 있는 환자도 체계적인 치료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