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서울대·KAIST 공동 연구팀은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추출한 치료물질(TdL, Tumor-derived lysate)과 신항원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면역치료 전략을 동물실험에서 검증했다. 그 결과, 종양 성장 억제뿐 아니라 폐 전이도 유의하게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두 가지 치료법을 실험했다. 첫 번째는 환자 암세포에서 얻은 TdL을 투여해 면역계를 자극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신항원만 선별해 나노입자(LNP)에 담아 전달하는 방식이다. 두 방법 모두 종양 크기를 줄였지만, TdL 투여군에서 가장 강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TdL을 면역항암제(a-PD-L1)와 병합했을 때는 단독 투여보다 치료 효과가 더 크게 향상됐다. 이 과정에서 종양을 공격하는 T세포는 늘어나고, 반대로 종양 성장을 돕는 억제성 면역세포는 감소해 면역 환경 전반이 암 억제 쪽으로 재편됐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중 약 15%를 차지하지만, 여성호르몬 수용체와 HER2 단백질이 없어 기존 표적치료가 어렵다. 결국 항암화학요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예후도 좋지 않은 편이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한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과제번호: HI22C0497)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오플라시아(Neoplasia) 최근호에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