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변성은 눈 안쪽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황반은 시세포가 밀집해 있어 우리가 사물을 선명하게 보고 색을 구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부위가 손상되면 중심 시야가 흐려지거나 왜곡되고, 심한 경우 시야 중심이 완전히 소실될 수 있다.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지만, 고도근시, 가족력, 흡연, 심혈관 질환 등이 있는 경우 젊은 층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황반변성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으로는 ‘변시증’이 있다. 이는 직선이 휘어 보이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현상으로, 일상생활에서는 TV 자막이 물결치듯 보이거나 바닥 타일 선이 굽어 보이는 형태로 인식되기도 한다. 또 중심 시야에 검은 점이 생기거나, 글자 중간이 빠져 보이는 ‘중심암점’이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증상들이 한쪽 눈에서만 발생하는 경우 반대쪽 눈이 보완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 자각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황반변성은 치료 시기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는 질환이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습성 황반변성의 경우 신생혈관의 증식을 억제하는 주사치료가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된다. 주기적으로 항체를 안구 내에 주입함으로써 혈관 누출을 막고 시력 손실을 늦추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건성 황반변성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많지만, 후기로 갈수록 습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약효가 오래가고 주사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치료를 제공하는 병원을 찾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황반변성은 질환 특성상 망막세포가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고도근시, 가족력,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있는 경우 40대부터라도 정기적인 안저 검사를 통해 망막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한 시력 저하로만 여겼던 증상이 실명의 전조일 수 있다. 눈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만큼, 나이와 관계없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시력 손실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글 : 윤수민 밝은신안과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