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임플란트 시술은 대부분 시멘트로 보철물을 부착하지만, 잔여 시멘트가 잇몸에 남을 경우 염증이나 뼈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밀 나사 결합 구조와 3차원 디지털 설계 기술을 결합한 CL-SRP 시스템의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는 한림대성심병원에서 35명의 환자(40개의 단일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수행됐다. 기존 혼합형 방식(CSCRP)과 비교한 결과, 전체 시술 시간이 평균 57% 단축됐으며 인상채득 시간은 절반 이하로 줄었다. 시술 정확도와 잇몸 형태는 기존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임플란트 주변 뼈 흡수량은 30% 이상 감소해 장기 안정성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의료기기상용화사업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특히 국내 첫 디지털 무시멘트 임플란트 무작위 임상시험(RCT)으로, 시멘트 제거 과정이 없어 감염 위험이 낮고, ‘한 번의 장착(one-abutment–one-time)’ 방식으로 환자 불편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

양병은 교수는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디지털 임플란트는 환자 맞춤형 치료에 적합하다”며 “이번 연구가 디지털 치과 진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