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두통을 단순한 피로나 스트레스로 여기기 쉽지만, 간혹 머릿속에 ‘시한폭탄’이 숨겨져 있을 수 있다. 뇌동맥류는 뇌 속 혈관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상태를 말한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동맥류가 터지면 심각한 뇌출혈로 이어져 생명을 위협한다.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사망률은 50~60%에 달하며, 살아남더라도 심한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증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동맥류가 주변 신경을 압박하면 눈꺼풀이 처지는 안검하수, 사물이 두 개로 겹쳐 보이는 복시 같은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생긴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동맥류는 증상 없이 자라다 파열 시 치명적이니 조기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뇌동맥류는 증상 없이 자라다 파열 시 치명적이니 조기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뇌동맥류가 실제로 터지면 상황은 급변한다. 뇌 안의 ‘지주막’이라는 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면서 뇌 전체에 피가 퍼지고, 뇌압이 급격히 올라 극심한 두통이 나타난다. 이때 환자들은 ‘머릿속에서 천둥이 울리는 듯한 두통’이라 표현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경험한다. 동시에 구토, 어지럼증, 의식 저하가 동반되며 생명이 위태로워진다.

출혈 후에는 혈관이 수축하는 혈관 연축, 뇌척수액 흐름이 막혀 생기는 수두증 등의 합병증도 자주 발생한다. 이런 문제들은 뇌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며, 한 번 손상된 뇌 조직은 회복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환자의 예후를 좌우한다.

뇌동맥류는 MRI나 CT 혈관조영술 같은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이 없어도 건강검진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크기가 4mm 이상인 경우에는 치료를 권고한다. 치료법은 튀어나온 혈관을 집어 혈류를 차단하는 클립 결찰술과, 혈관 내에 코일을 넣어 혈류를 막는 코일 색전술이 대표적이다.

신동성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교수
신동성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교수
신동성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동맥류가 터지기 전 발견하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지만, 파열 시 환자와 가족의 삶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며 “특히 폐경기 여성과 가족력이 있는 분들은 정기검진을 받고, 흡연과 고혈압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뇌동맥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관 건강을 해치는 흡연과 혈압 상승은 위험을 크게 높인다.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뇌동맥류를 미리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