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지속되는 무더위로 요로결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여름철 땀 배출이 많아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고 소변이 진해지면서 결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옆구리나 하복부에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이 찾아온다면 단순 배탈이 아닌 요로결석일 가능성이 크다.

요로결석은 소변 속 칼슘, 수산, 요산 등의 성분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돌처럼 굳어진 결정체가 신장이나 요관을 자극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출산에 버금가는 통증으로 응급실 방문 환자 중 상당수가 요로결석 때문이다.

여름철 심한 옆구리 통증은 요로결석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여름철 심한 옆구리 통증은 요로결석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조정현 한양대학교 센트럴병원 비뇨의학과 진료부장은 “요로결석은 방치할 경우 요로폐색, 신장 기능 저하, 요로감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여름철 옆구리 통증이나 소변 이상 증상이 반복된다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소변이 흐르는 모든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도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대표 증상은 칼로 찌르는 듯한 갑작스러운 옆구리 또는 하복부 통증이며 혈뇨, 배뇨 이상, 구토, 구역감 등이 동반될 수 있다. 감염이 발생하면 고열과 전신 증상도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방광염이나 생리통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요로결석 치료는 결석 크기와 위치,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다. 작은 결석은 약물 치료와 충분한 수분 섭취로 자연 배출이 가능하지만, 큰 결석이나 깊은 부위에 위치한 결석은 내시경을 이용한 비침습적 시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피부 절개 없이 요관내시경과 고출력 레이저를 활용해 결석을 분쇄·제거하는 치료법이 일반화됐다. 이 방법은 개복수술 대비 통증과 회복 부담이 적다.

특히 연성요관내시경을 활용하면 신장 깊숙한 부위까지 접근해 복잡한 결석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조정현 한양대학교 센트럴병원 비뇨의학과 진료부장
조정현 한양대학교 센트럴병원 비뇨의학과 진료부장
요로결석 예방을 위해서는 하루 2리터 이상의 충분한 물 섭취가 필수다. 짠 음식과 고단백 위주의 식단, 단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가족력이 있거나 이전에 결석을 앓은 적이 있다면 정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조 진료부장은 “요로결석은 재발률이 높은 질환으로 치료 후에도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과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며 “증상이 있을 때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전문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