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외 온도차, 냉방병의 핵심 원인
냉방병은 실내외 온도 차가 5℃ 이상 날 때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적절히 반응하지 못해 발생한다. 여기에 에어컨의 장시간 노출, 청소가 되지 않은 필터나 냉각수에 서식하는 세균까지 더해지면 증상이 더 악화된다.
특히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레지오넬라균 같은 세균이 쉽게 번식해 냉방기 내부에서 감염원이 되기도 한다.

냉방병 증상은 감기와 비슷해 혼동되기 쉽다. 두통, 근육통, 피로감과 함께 인후통, 콧물, 기침 같은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장시간 에어컨 바람을 쐰 후 위장 장애(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가 생기거나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 생리통 악화가 동반되면 냉방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손발이 붓거나 오한이 느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감기와의 차이는 ‘환경 반응’
냉방병과 감기의 구분은 간단하다. 냉방이 꺼진 후 통증이나 불편감이 줄어들면 냉방병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37.5℃ 이상의 발열이 계속되거나 기침, 호흡곤란, 근육통이 심할 경우 감염성 질환일 수 있어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
윤지현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냉방병이 지속되면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감염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자율신경계 불균형으로 인해 만성피로나 위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천식, 심혈관 질환, 관절염,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냉방병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대부분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 호전된다.
실내 온도를 24~26℃로 맞추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실내외 온도차를 5℃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냉방기 필터는 2주마다 청소하고, 2~4시간마다 5분 이상 환기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수면 중에는 배를 따뜻하게 덮고, 찬 음식이나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윤 교수는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사, 수면 패턴 유지와 같은 기본적인 건강 습관이 냉방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